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국민건강정보 국민건강정보◆ 국민건강정보란?국민건강정보는 국민건강보험자격자(전국민)의 약 2%에 해당하는 100만명에 대한 2002년부터 2013년까지의 진료내역정보, 약품처방내역정보, 건강검진정보이다. 건강과 관련된 국민적 관심의 고조되면서 건강관리 지원 및 건강정보 제공 관련 사업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해당 사업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다양한 콘텐츠 생산 및 서비스 제공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건강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해 국민건강정보 62개 항목, 약 4억건을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과 국민건강보험자료 공유서비스(nhiss.nhis.or.kr)를 통해 개방한다. ◆ 어떤 데이터들이 개방되는 것일까? 데이터 제공기관 개방 데이터총 건수제공 방식.. 더보기 의약품처방정보 의약품처방정보의약품처방정보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중 의약품처방이력이 있는 각 연도별 수진자 100만 명에 대한 기본정보(성, 연령대, 시도코드 등)와 의약품처방전별 개별 의약품에 대한 처방내역(요양개시일자, 1회투약량, 1일투약량, 총투여일수 등)으로 구성된 개방데이터이다. 공공데이터 개방서비스(http://nhiss.nhis.or.kr/op/it/index.do)에서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음. 처방정보 데이터 파일은 아래 링크 들어가시면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의약품처방정보 바로가기 더보기 진료내역정보 진료내역정보진료내역정보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중 요양기관(병/의원 등)으로부터의 진료이력이 있는 각 연도별 수진자 100만 명에 대한 기본정보(성, 연령대, 시도코드 등)와 진료내역(진료과목코드, 주상병코드, 요양일수, 총처방일수 등)으로 구성된 개방데이터이다. 공공데이터 개방서비스(http://nhiss.nhis.or.kr/op/it/index.do)에서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음.2016년 이전 정보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공공데이터 개방서비스(http://nhiss.nhis.or.kr/op/it/index.do) 더보기 건강검진정보 건강검진정보건강검진정보란 2002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의 직장가입자와 40세 이상의 피부양자, 세대주인 지역가입자와 40세 이상의 지역가입자의 일반건강검진 결과와 이들 일반건강검진 대상자 중에 만40세와 만66세에 도달한 이들이 받게 되는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이력이 있는 각 연도별 수진자 100만 명에 대한 기본정보(성, 연령대, 시도코드 등)와 검진내역(신장, 체중, 총콜레스테롤, 혈색소 등)으로 구성된 개방데이터이다. 공공데이터 개방서비스(http://nhiss.nhis.or.kr/op/it/index.do)에서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음. 다운로드 링크 2016년 이전 정보는 공공데이터 개방서비스(http://nhiss.nhis.or.kr/op/it/index.do)에서 다운 받으실 수.. 더보기 교통사고 정보 ◆ 교통사고정보란?교통사고정보는 최근 3년간(2012 ~ 2014년) 축적된 교통사망사고 정보와 사고 다발지역 정보이다. 이는 국민의 교통안전 및 사고예방활동에 매우 밀접하고 관련 통계분석 및 입체적인 지도안내 서비스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다. 경찰청에서는 도로교통공단에서 운영 중인 교통사고분석시스템(http://taas.koroad.or.kr)과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교통사망사고 위치정보 등 교통사고정보 78개 항목, 약 23만건을 개방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업계에서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어떤 데이터들이 개방되는 것일까?데이터 제공기관개방 데이터데이터 건수제공방식경찰청 교통사고정보(교통사망사고 위치정보, 보행자 무단횡단 사고 .. 더보기 건축데이터 민간개방 시스템 건축데이터 민간개방 소개건축데이터 민간개방 서비스는 국민의 주거 및 경제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건축행정정보를 민간에 개방하고소통함으로써 공익성, 업무효율성, 투명성을 높이고 건축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비지니스 창출과 관련 산업 활성화를지원하기 위한 공공데이터 개방 서비스 입니다. 관련서비스1. 건축물대장 열람2. 인허가 자가진단3. 전국분양정보4. 전기세 계산하기5. 우리동네 공사현장 건축행정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이용 열람시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사이트 바로가기 : http://open.eais.go.kr/main/main.do 더보기 다시 김관진 향하는 검찰 수사..댓글수사 축소 지시 정황 http://v.media.daum.net/v/20180218070705369?f=m 더보기 ‘美 철강 관세폭탄’ 韓 포함 日 제외... “中과 수출품목 겹쳐” 분석 美 철강 수출 1위 캐나다도 빠진관세 53% 부과 국가에 한국 포함“저가 중국산 강관류가 제재 대상日은 해당 제품 없어 제외된 듯” 美기업들, 국내 기업 제소 증가“대미 수출구조 개선 못하면美보호무역 조치 한국에 집중”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잇따른 보호무역 조치에서 우리나라는 단골로 대상국에 포함되는 반면 미국 시장에서 한국의 경쟁상대인 일본은 번번히 제외되자, 그 이유를 두고 해석이 분분하다. 이에 대해 통상 전문가들은 “미국이 무역전쟁의 주 타깃을 중국에 두고 수입규제를 강화하면서 중국과 산업구조가 비슷한 우리나라가 같이 제재 대상에 포함되는 것”이라고 분석한다. 18일 미 상무부가 발표한 ‘무역확장법 232조’ 철강 안보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 철강을 가장 많이 수출한 상위 20개 국.. 더보기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앞두고 좌불안석 '대학가' 최종결과는 8월말, 지표 불이익 사립대 좌불안석 “무조건 상위 60%에 들어야 살아 남는다.” 대학의 운명을 좌지우지할 대학평가를 앞두고 광주·전남을 비롯한 전국의 대학가가 초긴장 상태다. 오는 8월말 어떤 성적표를 받느냐에 따라 대학의 생사가 결정될 수 있어서다. 5일 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2주기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대학구조개혁평가) 평가 대상이 되는 대학은 3월말까지 1단계 평가를 위한 대학별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올해 대학기본역량진단은 1단계 평가에서 상위 60%를 ‘자율개선대학’으로 지정하고 이들 대학은 정원 감축을 자율에 맡긴다. 상위 60% 대학은 일부러 정원을 감축하지 않아도 되고 3년간 일반재정도 지원된다. 반면 하위 대학에 대한 패널티가 집중됐다. [[평가결과 하위 40% 대학은 .. 더보기 4년후 대학 입학금 폐지 사립대학교 입학금이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폐지된다. 교육부는 전국 대학 및 전문대 총 330개교가 2022년까지 입학금 전면 폐지에 합의하고 이행계획을 제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입학금 감축 계획은 각 대학의 등록금심의위원회 및 자체 논의를 거쳐 확정된 내용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미 합의된 국·공립대 입학금 전면 폐지와 사립대학 및 전문대 입학금 단계적 폐지 합의에 따른 이행계획을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국·공립대학은 지난해 8월 전면폐지를 확정했다. 사립대학은 같은해 11월, 전문대는 올해 1월 입학금의 단계적 폐지를 결정했다. 각 대학의 이행계획에 따르면 입학금이 평균 77만3000원 미만인 4년제 대학 92개교는 2018년부터 입학금의 실비용을 제외한 나머지를 4년간 매년 2..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 22 다음